HOME

 전통한옥의 요소를 도입한 아파트 현관부 디자인 연구

연구 l 찾기 

 English 

 
한필원, 손명기, 이주옥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권 2호, 2009. 2.

초록

이 연구에서는 현관 디자인의 바람직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먼저 우리 주택에서 현관의 면적과 기능이 변천된 과정을 개괄하고 현관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다음으로, 최근 분양된 아파트 현관 디자인의 경향을 분석하고 한계점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통한옥의 요소를 도입하여 현관부를 디자인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현관은 입구공간으로서, 매개 공간 · 사회적 공간 · 수납공간의 성격을 가지며, 단위세대를 차별화하고 개별성을 부여할 수 있는 부위라고 그 개념과 성격을 정립하였다.

최근 분양된 아파트에서 현관은 전실 · 발코니의 설치, 공간의 확대, 공간 연결관계 다양화 등의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관부의 공간 연결관계를 분석한 결과, ‘현관-복도’, ‘발코니-현관-복도’, ‘전실-현관-복도’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 ‘현관-복도’ 유형은 전체 98개 사례의 대부분인 74.5%를 차지하고, ‘발코니-현관-복도’ 유형은 11.2%, ‘전실-현관-복도’ 유형은 13.3%를 차지했다. 이로써, 여전히 ‘현관-복도’ 유형의 관례적인 공간구성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전실과 발코니를 도입하여 현관의 채광 · 통풍 등 환경성을 개선하고 현관의 면적을 확대하려는 요구를 반영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음을 밝혔다.

1990년대의 아파트에 비해 최근 분양된 아파트의 현관부 면적과 단위세대 전용면적에서의 점유비율은 모두 2.5배 이상이 되어 현관의 비중이 크게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공간의 성격과 디자인의 차별성이 취약한 것이 한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현관부 디자인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툇마루 · 들어열개문 · 텃밭 등 전통한옥의 요소와 사랑방 개념을 도입하여 현관부를 디자인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실행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현관부의 면적은 최근 분양된 아파트의 현관부(현관 및 발코니 또는 전실)와 유사한 9.75㎡로, 현실적용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현관부 디자인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현관부는 진입 · 수납 · 사교의 성격을 갖는 하나의 통합된 공간으로 구성한다. 현관에 인접한 실을 서재 및 손님 접대의 용도를 갖는 전통한옥의 사랑방 개념으로 설정하고, 현관을 이 사랑방과 함께 사회적 활동이 일어나는 장소로 디자인한다. 이를 위해 현관과 사랑방 사이에 들어열개문을 설치하고, 툇마루를 설치한다. 이로써 현관은 사랑방과 연결 · 분리가 가능한 가변성과 개방성을 가지며, 사랑방과 함께 사회적 성격의 공간이 된다. 또한 텃밭을 현관과 완전히 통합되도록 설치하여 현관부가 외부공간처럼 밝고 환경친화적이며 개방적인 분위기를 갖도록 디자인한다.

키워드 : 아파트, 현관부, 전통한옥 요소, 들어열개문, 툇마루, 사랑방, 텃밭, 사회적 공간, 차별성